안녕하세요! 저는 교육기업(중고등 교육 출판사 및 인강 플랫폼, 예: 비상교육, 천재교육, 메가스터디, 해커스 등) 에서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Kelli Tungay
현재 서비스 기획과 관련된 프로젝트나 공모전 수상 경험이 없어 본격적으로 스펙을 쌓아 나가려고 합니다. 다만, 고민되는 부분은 대학원 진학이 취업에 도움이 될지입니다. 만약 대학원에 간다면 교육공학과에서 교육 서비스 관련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이런 과정이 서비스 기획자로 성장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멘토님의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학원보다는 실무 경험이 더 큰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업계에서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대학원이 반드시 경쟁력을 높여준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실무 경험이 훨씬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특히 2년 정도의 실무 경험을 통해 실제 서비스 기획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익히는 것이 더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대학원에서 이론적인 연구를 통해 교육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는 있지만, 취업 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실무에서 직접 부딪히며 얻은 경험과 역량입니다.
현재 서비스 기획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대학원 학과는 많지 않습니다. UX나 데이터 관련 학과로 진학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는 취업을 위한 준비라기보다는 실무 경험을 쌓은 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육공학과에 진학해 연구를 하게 되면 교육 서비스의 이론적 기반을 탄탄히 다질 수는 있겠지만, 실제로 기업에서 원하는 것은 교육 서비스 기획과 운영을 직접 해본 경험과 실무적인 문제 해결 능력일 가능성이 큽니다.
©Unseen Studio
특히 교육 서비스 기획 직무에서는 교육 콘텐츠나 프로그램의 확장성을 고민하는 것보다, 플랫폼 내에서 학생, 학부모, 강사 등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사용성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실무 경험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교육 서비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쌓는 것이 핵심입니다.
결론적으로,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기보다는 스타트업이라도 먼저 취업해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선택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게 하면 고민하고 있는 프로젝트 경험도 자연스럽게 쌓이게 되고, 이후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대학원과 병행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실무 경험을 통해 서비스 기획자로서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바쁘실 텐데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