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자 클래스
멘토에게 질문하기
멘토링 베스트 Pick
진로 인성 검사
가구 디자인 취업, 비전공자도 포트폴리오로 승부를 볼 수 있을까요?
슬로웨이브 · Design Research
약 14시간 전
💬 멘티의 질문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는 다른 쪽에서 일을 하다가  현재는 가구 디자이너로의 취업을 준비 중인 취준생입니다. 퇴사 후에는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했고, 이후 가구 디자인에 필요한 여러 프로그램을 공부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Phillip Goldsberry


현재 포트폴리오는 총 5가지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성 방식은  디자인 스케치 → 3D 모델링 및 렌더링 → 오토캐드 도면 → 장면 연출 → 파이널 렌더링 순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비전공자라도 포트폴리오가 탄탄하다면 가구 디자이너로 취업에 도전할 수 있을까요?

2.포트폴리오에 실제 제작한 프로토타입이 없더라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현재 열심히 준비하고 있지만 비전공자이다 보니, 방향이 맞는지 고민이 많습니다. 조언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김성미 멘토의 답변

가구 디자이너로의 진로를 준비하시며 이렇게 고민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가구 디자인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익히고,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잘하고 계신 부분입니다. 어떤 회사를 목표로 하고 계신지는 모르겠지만, 관련 포트폴리오가 있다면 비전공자라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제작한 프로토타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실제로 만들어본 경험이 있다면 분명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구 디자인은 단순히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초적인 구조 이해와 설계 능력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외형은 멋지지만 실무자가 보기엔 “이건 부러질 수 있겠다” 싶은 구조라면 설계적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작은 스케일이라도 모형 제작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가구회사 근무 당시 의자의 구조 테스트를 위해 축소 도면을 바탕으로 철사와 플라스틱을 활용해 모형을 만든 경험이 있었어요.  또한,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의 제품 특성에 따라 준비 방향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디즈처럼 철재와 플라스틱을 주로 다루는 산업용 가구 회사는 산업디자인 전공자들이 많고,
-일룸처럼 감성적인 가정용 가구를 제작하는 브랜드는 목재나 패브릭을 다루며 목조형학과, 가구디자인학과 출신이 주를 이룹니다.

즉, 지원 회사가 주로 어떤 가구를 다루는지, 어떤 재료를 사용하는지 파악하고 유사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는 포트폴리오를 통해 프로젝트를 풀어나가는 능력,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 툴 사용 능력 등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예쁜 렌더링이나 스케치만 보여주는 것보다, 어떤 ‘과정’을 거쳐 디자인이 완성됐는지를 잘 드러내는 게 중요합니다.


©Phillip Goldsberry


옷 디자인과 비교해 볼까요? 옷을 디자인할 때도, 대상의 특징과 니즈를 고려한 후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가구 디자인 역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 문제점을 파악해 그에 맞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식입니다.


예를 들어,  원룸에 거주하는 20~30대 싱글 직장인이 노트북 시청을 주로 하는 상황이라면,

-일반 테이블이 불편하다는 문제 인식

-실제 사용자 관찰 및 인터뷰

-시장조사를 통한 기존 제품 분석

-그를 바탕으로 접이식 테이블, 회전 기능, 전선 정리 공간 등 구체적인 아이디어 도출…

이런 식의 리서치 기반 설계 과정이 있으면, 단순히 감각적인 디자인이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논리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수많은 이해관계자와 협업해야 하기에, 왜 이 디자인이 필요한지 설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디자인에는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고, 그 근거는 철저한 리서치에서 시작됩니다.


요약하자면,

-비전공자라도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돼 있다면 충분히 취업 가능합니다.
-프로토타입은 필수는 아니지만, 있다면 분명 강점이 됩니다.
-구조적 이해와 사용자 중심의 리서치 기반 디자인이 중요합니다.
-목표 회사의 제품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성미 멘토
슬로웨이브 · Design Research
디자인/예술
한국에서 의자디자이너로 약 6년 일하다가 적정기술, 사회혁신에 관심을 갖고 유학길에 올랐습니다. 뉴욕에서는 디자인전략대학원을 마치고 컵공유 스타트업에서 경험디자이너로 지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UX리서치, UX컨설팅, 대학생, 실무진 대상 디자인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같은 직무를 다룬 글
인기 있는 글
영업/영업관리
약 6년 전
연구/설계
약 6년 전
인사/총무/노무
약 6년 전